본문

Critique / 문화 비평

YACAF의 10개의 포즈 1편

신병은(시인)
부제

YACAF는 강창구. 정재종, 양수균, 이형모, 김상선, 김찬식, 이존립, 이미경, 정정복, 서국화 등 여수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순수미술작가 열 명의 선후배 작가들이 의기투합하여 작품 임대사업 및 창작력 증진을 목적으로 지난 2013년에 탄생한 미술협동조합이다.

YACAF의 10개의 포즈 1편-대표 이미지
강창구 <거문도 조감>

YACAF는 강창구. 정재종, 양수균, 이형모, 김상선, 김찬식, 이존립, 이미경, 정정복, 서국화 등 여수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순수미술작가 열 명의 선후배 작가들이 의기투합하여 작품 임대사업 및 창작력 증진을 목적으로 지난 2013년에 탄생한 미술협동조합이다.

YACAF에는 열명의 안목과 10개의 포즈가 있다.

서로의 개성적인 포즈를 나누고 공유하면서 마음 길을 연다.

그림은 손끝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나온다고 믿으면서 한결같이 우리 주변의 풍경을 통해 삶의 따뜻한 서정을 풀어내려 한다.

무불경 (毋不敬)이라 했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세상에 경이롭지 않은 것이 없고 존경스럽지 않은 것이 없다고 했다.

꽃이 피는 것으로 자연의 이법을 읽어내고 사소한 일상을 통해 삶의 깨달음을 찾아내는 열 명의 통찰과 통섭에 대해 살펴보고, 그들이 어떻게 대상을 들여다보고 세계의 읽는지 그 포즈를 들여다본다.


#강창구

.........소통, 고요한 원형 서정을 화두로 풀다

그가 보여주려는 풍경코드는 있는 그대로의 풍경이 아니라, 해석된 삶의 메시지를 지닌 의미 체험이다.

그가 바라보는 대상, 풍경은 일상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것이지만 그의 발견적 상상력이 관장하고 있기 때문에 감상자의 전이해(前理解)를 새롭게 해 준다.

즉 그의 풍경은 찌든 관념을 정화해 새롭게 해주는 서정이면서 서사의 중심 오브제가 되어 감상자로 하여금 새로운 삶의 이해를 돕는다.

자연과 사람의 좋은 만남을 주선해 줄 뿐만아니라, 풍경이 갖는 넓은 생명의 품 안에서 우리의 삶을 봄 가을 여름 겨울 할 것 없이 함께 넉넉하고 고요하게 해준다.

그의 조형 어법을 말하자면 소멸과 존재의 순환에 기대어 물처럼 바람처럼 가끔 투명해져 세상사 모든 맺힌 것을 풀어낸다.

풀면 풀수록 고요해지고 맑아지는 것이 풍경이고 그것이 곧 그의 마음 안의 세상이 된다. 그러다보니 기교를 버린 데서 정화의 깊이를 얻고 과장되지 않은 통찰로 이면에 숨어있는 풍경의 진실을 풀어 소통하게 한다.

그래서 그의 소통은 맑고 고요하고 정직하다.

그의 매력은 이러한 조형적 소통을 통해 새롭게 유추된 상호의미를 확대하는데 깊게 관여한다는 것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바다와 나무, 바닷가 풍경, 산의 인상, 여수 시가지, 섬과 산 등은 우리가 만나는 낯익은 풍경이지만 그대로 재현된 것이 아니라, 응축과 생략으로 오브제들 상호간에 맺고 있는 의미유추를 통해 새로운 풍경체험으로 소통된다.

본래적인 원색을 주관적인 인상으로 비틀어 고착된 색채관념에서 벗어나려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것은 단지 조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칼 바르트(Karl Barth)의‘매체(object) 속에 들어 있는 말씀(Word)"을 찾아내는 작업이다.

그것은 눈에 닿은 풍경의 미적정보를 얻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감정을 정화시켜준다. 대상에서 와 닿는 존재의 넓이와 깊이를 다크톤의 질감을 바탕으로 형상화하고 대상과 대상의 존재감이 연쇄적으로 만나 만들어낸 의미적 풍경이다.

정재종 <모정>

#정재종

...........우리시대의 인간 사랑의 포즈 연출가

정재종의 중심 포즈인 ‘모자상’에서 이러한 진솔한 자형字形의 의미를 만나게 된다.

그의 ‘모자상’은 전통과 모더니즘의 조화를 이루면서 ‘어머니와 아이’의 시선이 전해주는 전통적 서정과 따뜻한 인간 사랑을 확보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정재종의 그림 앞에 서면 무엇보다 먼저 마음이 따뜻해지면서 행복해 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시선은 곧 마음이고, 포즈는 곧 이야기다.

작가는 삶을 조용히 응시하는 어머니의 자애한 시선을 깊이 있게 통찰함으로써 힐링의 담론을 제시한다.

자신의 삶 속에 자리하고 있는 유년의 ‘어머니’를 환기시켜 곁에 세우고 어머니라는 외연을 통해 자애와 사랑이라는 소중한 내포를 일깨워 삶의 의미를 한층 더 깊이 있게 만들어주고 있다.

어머니와 아이의 눈망울, 그 시선이야말로 우리 삶을 따뜻하게 응시할 수 있게 하는 힘이자 삶을 더 넓고 깊게 해주는 메타포가 된다.

그의 이야기는 인간존재의 조건이면서 삶의 즐거움이다.

정재종의 중심 포즈인 ‘모자상’은 한국적 여성의 순수하고 자애한 모성에 대한 이야기가 안겨있다.

‘어머니’라는 말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복합적 포즈로 재생함으로써 자꾸만 사라져가는 인간사랑에 대한 의미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그가 전하는 메시지는 단순히 사라져가고 있는 포즈에 대한 그리움이 아니라, 아직 우리 삶의 한 가운데 서식하는 가슴 포근한 이야기다.

그는 어머니의 평화로움과 넉넉함, 고요한 응시를 미적으로 승화시켜 두고 있다.

젖가슴을 다 드러낸 낯익은 풍경체험을 통해 육아는 물론 강한 생활력을 보여주는 전통적인 모성을 체험하게 하며, 더불어 우리의 밑바닥에 안겨있는 유년의 유토피아를 재생시켜 인간사랑을 다독여 준다.

그냥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와 아이, 풍경과 풍경들이 서로 조응하면서 정겹고 따뜻한 세상을 그려낸다.

우리시대의 인간 사랑의 포즈 연출가 정재종,

그래서 그를 만나면 한없이 포근하고 평화롭고 행복해진다.

양수균 <어린날의 기억>

#양수균

​.........기억이 에디톨로지, 기억을 다시 기억하다.

그의 작업은 출발은 기억의 소환이다.

기억을 다시 기억하기다.

유년시절부터 살아오는 동안 인상적으로 저장된 모든 기억의 편린들을 불러내어 조각보처럼 연결하여 하나의 패턴을 만들어낸다.

그의 아이디어는 패턴의 인식에서부터 시작되어 패턴인식으로 자리한다.

그의 기억 속에 자리하는 바다, 섬, 우산, 들판, 이름 모를 들꽃과 풀잎, 그리고 바람은 훼손되지 않은 삶에 대한 그리움이자 원형적 꿈으로 자리한다.

그리고 아무리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꿈의 원형이다. 그의 그리움의 소재들은 다분히 그가 반추하려는 메시지에 대한 재발견과 적용으로 자리한다.

즉 바다와 우산, 섬과 들판, 우산과 섬, 섬과 꽃잎, 들꽃과 바다 등으로의 재구성과 만남, 소통과 통섭의 에디톨로지를 통해 경이로운 세계를 체험하게 한다.

그래서 그의 패턴은 정답이 하나가 아님을 보여준다.

저마다 제 포즈를 유지하면서 편집을 통해 지나온 시간과 기억의 패턴을 재창조해낸다.

그의 기억의 에디톨로지다

구상과 추상의 만남과 소통을 눈여겨보게 되는 재미가 여기에 있다.

기억 속 포즈들이 경계를 허물고 만나는 자리에서 중대하고 놀라운 사물의 본질을 드러내는 추상이 오브랩된다.

추상은 의미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자신만의 고유한 조형체험을 만나려는 회화적 과정이다.

그래서 그의 기억 속 인상trace은 그의 잠재된 시간과 공간에 대한 흔적이면서, 시간이 멈춘 공간에서도 다분히 ‘그리움 혹은 새로운 패턴인식을 향한 내러티브’의 에너지원으로 자리한다.

그녀의 기억, 이데아, 그녀를 존재하게 하는 근원적인 에너지원이다.

이형모 <수중의 향연>

#이형모

.........신비롭고 장엄한 물속의 화엄華嚴,

이형모 <수중의 향연>

이형모의 통찰에 대해 생각한다.

그의 통찰은 세계의 원형을 끊임없는 탐색하는 자기 질문이고 소통이다.

그것도 물속을 유영하면서 물속 세상을 살아가는 생명과 소통하고, 그 속에 있는 풍경을 통해 유토피아적 삶의 또 다른 풍경을 보여준다.

물속의 맑고 행복한 세상과의 소통이다.

그의 물속 세상은 가 보고 싶어도 쉽게 갈 수 없는 풍경을 보여준다는 의미도 있지만, 그보다 물속 풍경을 통해 바깥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로 하여금 맑은 삶에 대한 의미체험을 갖게 해준다.

신비롭고 장엄한 물속의 화엄華嚴, 물 속 풍경을 통해 또 다른 삶의 깊이와 넓이를 헤아리는 작가다, 그가 실제 물속에서 보고 느낀 상상력을 바탕으로 펼쳐놓은 화두가 있다면 그가 바라보는 바다는 어떤 상징에 닿아있고 어떤 상상력으로 전개되는가에 대한 탐색이다.

감각적인 인식의 대상으로 묘사되는 것이 아니라, 상상력을 통해 바다는 더욱 생명력 넘치는 존재로 묘사되는데 가만히 들여다보면 시각적인 심상뿐만이 아니라, 청각적 심상까지 환기시켜준다.

그리하여 감상자로 하여금 물 밖 세상의 상처와 아픔을 맑게 씻어 정화시켜주는 것이다.

격동과 정적이 있는가 하면 흐름과 멈춤도 있고, 삶과 죽음이 있고, 혼돈과 질서, 평화와 다툼이 있는 양면적 모습으로 예측할 수 없는 변화를 예견하고 있는 진행형의 바다이며, 숱하게 밀려왔다 밀려가는 물 길 속에는 우리의 가장 순수한 본능적 실존을 반추하게 하는 현실이 있다.

그럼에도 작가 이형모의 바다 속은 조용하다.

조용하다 못해 고요하고 신비하다.

마치 산사와 같은 정적 속에서 우리의 몸과 마음이 비워지고 경건해지는 신비로운 울림이 있다.

그 속에도 길이 있고, 영롱한 생명의 흐름이 있고, 변화무쌍한 빛의 향연이 있고, 물고기와 해초의 맑고 고운 언어가 있으며, 평화가 있고 사랑의 이야기가 있으며 푸른 숲이 있는 삶의 공간 그 자체다.

그가 수중 깊이 열어놓은 물길은 인간과 자연이 사랑의 밀어를 나누는 통로일 뿐만 아니라, 서로가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가 삶을 공유하는 유일한 통로이다.

그가 물 속에 열어놓은 길의 여정은 육상에서의 모든 법이 바다와 인간의 마음 안에서도 가능하다는 깨달음에 이르는 길이며, 함께 자연의 본질에 닿을 수 있는 통로이자 울림이다.

김상선 <바람소리-7월>

#김상선

......바람소리를 화폭에 담다

김상선이 즐겨 담는 메시지 중의 하나는 ‘바람’을 통해 대상의 이면에 담겨있는 소리를 담는다.

그의 바람은 살아있는 화석이며 살아있는 모든 것들이 사라진 뒤에도 스스로 살아남아서 떠도는 순환의 질서를 상징한다.

그래서 바람(wind)은 바람(hope)의 중의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이 모두를 하나로 아우르는 ‘자연 그리고 소통’이라는 포괄적인 주제성을 담아낸다.

그래서 이번 전시는 스케일이 클 수밖에 없다. 대작 중심으로 한 것도 이러한 그의 철학을 담아내기 위한 장치일 것이다.

또 하나의 메시지는 학을 통해 그려낸 그의 품 넓은 사랑법이다.

‘무애’라는 말이 있다. 막히거나 거치는 것이 없음을 뜻하는 무애는 “떠나고 싶은 자 떠나게 하고 잠들고 싶은 자 잠들게 하라”는 전언과 통해 있다.

이처럼 바람 불고 꽃피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읽으면서 기실 자신을 읽고 있는 중이다.

독서의 고수는 바로 자연을 읽고 자신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이다.

그럴 때 제대로 된 발견이 가능해진다.

그 발견이 몸이 되고 삶이 되고, 내 피로 흐를 때에 한 편의 작품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관자로 하여금 ‘미학적 삶’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조형 즉 형상화란 관찰의 힘을 구체적인 삶과 연결짓는 사색이며 힘이다.

이 힘이 바로 우리 삶의 아픈 현실을 견디고 이겨내는 힘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가 왜 이 낯익은 화두를 다시 꺼내들었을까.

아마 세계 속에 존재하는 자신을 읽어보려는 의지가 분명하다.

우리가 가끔 복잡한 삶의 현장을 떠나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 아닐까를 생각해 보듯 그 또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궁금한 것이다.

바람 시리즈를 중심으로한 풍경체험은 현대인의 삶의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롭고자 하는 그만의 꿈꾸기에 다름 아니다.

도식적인 관념에 얽매이는 것을 거부하면서 그가 꿈꾸는 삶은 그래서 다분히 은유적이고 회귀적일 수밖에 없다.

그의 작품이 원색적으로 시선이 옮아가게 되는 것도 알고 보면 은유적 삶을 향한 데포름이자 그만의 꿈꾸기다.

공유하기

빠른 메뉴

TOP